- [건강정보] 당뇨 예방법
- 2025-03-18
[당뇨 예방하고 건강한 몸 만들기]
전 세계적으로 당뇨병을 앓고 있는 분들이 4억 명 이상 되며
우리나라에도 300만 명 이상이 당뇨 질환을 앓고 있다고 합니다.
이런 당뇨를 예방하고 관리하는 방법에 대해 알려드리겠습니다!
▶ 당뇨병
당뇨병은 혈액 속의 포도당이 세포 속으로 들어가
에너지원으로 이용되지 못해 혈당이 비정상적으로 올라가는 질환입니다.
▶ 당뇨병의 원인
- 유전적인 요인
- 환경적 요인
- 과식, 비만 운동부족
- 스트레스
- 약물
- 노화
▶ 당뇨병 대표적 초기 증상
- 목이 자주 마른다
- 배가 자주 고프다
- 체중이 감소한다
- 쉽게 피로해진다
- 화장실에 자주 간다
▶ 당뇨병 진단 기준
▶ 당뇨병 종류
- 1형당뇨병
1형당뇨병은 췌장의 베타세포가 파괴돼 인슐린이 분비되지 않는 병입니다.
우리나라 당뇨병의 2% 미만을 차지하고 주로 사춘기나 유년기에 발생하며
30세 전에 진단되는 경우가 많지만 성인에서도 나타날 수 있습니다.
//
1형당뇨병은 인슐린이 전혀 분비되지 않기 때문에
외부에서 인슐린을 주입하는 치료가 필수적입니다.
인슐린 치료를 받지 않으면 고혈당이 악화되어 급성 합병증이 나타날 수 있으며
급성 합병증은 초기에 적절히 치료하지 않으면 사망까지 이어질 수 있습니다.
- 2형당뇨병
2형당뇨병은 몸의 인슐린 저항성이 커지면서 인슐린의 작용이 원활하지 않고
상대적으로 인슐린 분비의 장애가 생겨 혈당이 올라가는 병입니다.
한국인의 당뇨병 대부분이 2형당뇨병입니다.
보통 40세 이상에서 발생하지만 젋은 연령층에서도 생길 수 있으며
최근에는 30세 이하의 젊은 2형당뇨병 환자가 늘고 있습니다.
//
2형당뇨병 환자는 비만하거나 과체중인 경우가 많습니다.
유전적 성향이 강하고, 1형당뇨병과 달리 가족력이 흔합니다.
주요 발생 기전이 인슐린 저항성 증가와 상대적 인슐린 결핍에는
유전적 요인과 잘못된 생활습관에서 기이한 비만 등
환경적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합니다.
▶ 당뇨 합병증
-뇌혈관 질환
- 심혈관 질환
- 신장 합병증
- 말초혈관 질환
- 당뇨성 망막증
- 치주칠환
- 성 기능 장애
- 당뇨성 족부병
▶ 자가 혈당 측정법
① 기구 준비 후 시험지의 유효기간이 지나지 않았는지 확인
② 손을 깨끗하게 씻고 완전히 건조
③ 심장보다 손을 아래로 늘어뜨리거나 손끝 방향으로 마사지하여 혈액 모으기
④ 체혈 부위는 통증이 덜한 손가락 가장자리를 이용
⑤ 시험지에 적당량의 혈액을 묻힌 후 혈당 수치 확인
⑥ 측정 결과 확인, 기록
▶ 당뇨병 예방 관리법
- 적정 체중 및 허리 둘레 유지하기
- 균형 잡힌 식단으로 시간에 맞춰 식사하기
- 규칙적인 운동으로 신체 활동 늘리기
- 과도한 음주는 피하고 금연하기
- 적정 수면시간을 지키고 숙면하기
- 정기적인 검진을 통해 위험인자 확인하기
▶ 당뇨병 식단 관리법
▲ 혈당에 안 좋은 음식
- 곡류
- 단순당
- 유제품
- 과일
● 혈당에 좋은 음식
- 어류, 육류
- 견과류
- 채소, 해조류
- 대체당